완벽주의를 조절하는 4가지 방법

완벽주의를 조절하는 4가지 방법

앞서 글에서 처럼

나는 홀로서기를 해서 강해지려고 이것저것 찾아보았는데

완벽주의

내가 생활하는 것이나 나의 생각을 들추어보았을때 나는 완벽주의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는 것 같이 보여졌다.  이것저것 찾아보면서 유튜브에서 안내해주는 알고리즘을 따라 이동해보니 어느새 완벽주의에 관한 영상들을 찾아보고 있었고 너무나도 크게 공감할 만한 내용들을 다루고있어서 내 스스로 정리해보는 시간을 가져야겠다는 생각에 오늘 포스팅을 올린다.

완벽주의를 조절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나는 크게 4가지로 정리해보았다.

1.완벽주의를 인정하는 것

내가 아무리 고치고 싶어도 완벽주의가 아니라고 부정해 버리면 시작조차할 수 없다. 스스로 내가 완벽주의 성향을 가지고있다는 것을 인정하고 시작하면 반은 성공한것이다.

2.기준을 바꾸자

내기준이 애초에 달성할수 없을 만큼 높아버리면 내 기준은 높고 나의노력은 한계가있는데 달성할 수 없는 끝을 바라보면서 게속 나아가다가 결국엔 혼자서 지쳐버리게 되는 것이다. 생각해봐야할 큰 기준을 4가지정도로 간추려본다면

첫째, 업무에서의 기준

둘째, 대인관계에서의 기준

셋째, 건강과 외모의 기준

넷째, 행복이나 성공의 기준

이러한 기준들을 좀더 구체적이고 좀더 현실적으로 수정만해도 훨씬 더 마음이 편해질것이고 실제로 나는 이러한 고민을 크게 해본적이없는것 같아서.. 바로 실천해봐야겠다.

3. 실수에대한 인식 바꾸기

실수를 하면서 성장을 하는 것인데 실수를 한다는 것 자체에대한 두려움때문에 내가 시도조차못하는경우도있다. 실수를 두려워 하지말고 끊임없이 시도하고 용기를 내어야한다 내가 한 실수를 바라보는 시선을 다르게해서 내가 이번에 범한 실수가 어떤 부분에서 나한테 발전을 가져다 줬는지에대한 시선으로 바라보면 오히려 실수가 도움이 될 수있다. 실수에 대한 인식을 바꿔보자.

4. 완벽한 것과 성공, 행복은 다르다.

완벽해야만 성공하고 행복하다 라는 생각을 하는 경우가있다. 하지만 이러한 생각은 조금 잘못된것이다. 물론 완벽해서 성공하고 행복할 수있지만 때로는 조금 힘을빼고 가볍게 상황을보고 행동을해야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무조건 완벽하다고 성공을 하고 행복해지는 것은 아니다.

위에서말한 4가지 조건은 내가 스스로 되뇌이면서 계속생각할 것이고 내가 사람들앞에서 당당해지는 날까지 계속 되뇌이고 스스로 생각할 것이다.

아래링크는 이글을 쓰기까지 가장큰 도움을 준 유튜브 영상이니 참고해봐도 좋을 것 같다.

 

Leave a Comment